한블리보고 정리한 차량 급발진 대처법과 예방법
본문 바로가기
나만 몰랐던 잡지식

한블리보고 정리한 차량 급발진 대처법과 예방법

by 네이글 2023. 11. 8.
반응형

 자동차 급발진 사고를 보면 정말 무섭습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는 문제가 없다하고,

운전자는 자기의 의지와 상관없이 차가 급발진을 했다고 하고...

 정말 있어서는 안되지만 혹시 나에게 급발진 상황이 닥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급발진 대처법

1. 브레이크 페달을 두발로 있는 힘껏 밟기

   급발진 당사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급발진 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느낌이 부드럽지 않고

  딱딱하고 뭔가 굳어서 밟히지 않는 느낌이라고 합니다.

   브레이크가 아예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을 있는 힘껏 두발로 한번에

  밟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브레이크의 경우 여러번 나눠 밟으면 브레이크의 진공 상태가

 약해져 브레이크가 오히려 제어가 되지 않습니다.

브레이크페달 밟기

 

2. 변속기 레버를 중립으로 놓기

   급발진 상태에서 차를 세우기 위해 변속기 레버를 P(주차)로 놓을 경우 오히려 핸들이 잠기고

  차량이 회전을 할 수 있어 절대로 하면 안됩니다. 핸들이 잠기면 운전자가 제어를 아예 할 수 없어

 자칫 더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속기는 D에서 N(중립)으로 놓아서 차량의 동력을 차단시켜야 합니다.

 만약 변속기 레버 중립 후 차량의 속도가 줄어들고 있고 많이 저속 주행중이라면 주차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자동차 멈춤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운전이 미숙 하신 분들은 정차중에 브레이크를 밟고 변속기 레버를 D(주행)와 N(중립)을 바꾸는 연습을

  평소에 해보시기 바랍니다.

변속기중립

 

 

3. 급발진 중 시동 함부로 끄지 않기

   지금까지 사례를 보면 급발진 중에 시동을 꺼도 차는 멈추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시동을 꺼서 

  자동차 제동이나 제어가 전혀 되지 않아 더 위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동을 끄는 대신 차라리 침착하게 차를 제어하여 사람이 없는 곳과 운전자가 덜 다칠수 있는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4. 전자식 브레이크 활용하기

   근래 만들어진 신차의 경우 사이드브레이크 대신 전자식 사이드 브레이크가 있을 겁니다.

  이 전자식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평소보다 30% 적은 힘으로 제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자식 브레이크는 차량 속도가 너무 빠를 때 사용하면 차가 회전할 수 있습니다.

  쉽지 않겠지만 급가속 현상 초반에 사용하셔야 안전합니다.

전자식 브레이크

 

5. 최대한 안전한 곳에 부딪히며 감속 하기

   급발진 중 위의 방법들이 모두 안된다면 최후의 방법으로 안전하게 부딪히며 감속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가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 쪽으로 차를 몰아 차의 옆면으로 부딪히며 저항을 이용해 강제로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또한, 최대한 도로의 가장자리로 차를 몰아 더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라면 도로 옆 보도블럭의 턱이나 튀어나온 부분에 타이어를 강제로 부딪혀 펑크를 내서

 속도를 줄이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급발진 예방법

예방법이라 해도 정확하게 100%로 예방되는 것이 아닙니다. 요새 차들은 전자기기들이 많이 사용 되어 

이런 전자기기들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엔진 또한 마찬가지로 무리 가지 않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1. 시동 걸때 두번에 걸쳐서 걸기

 -예전 차키 사용 자동차

  차키를 사용 하는 예전의 차들은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키를 조금만 돌려 ACC ON 상태에서 멈추고 각종 계기판 및

  차의 전자기기들이 켜진 후 약간의 시간을 주고 키를 더돌려 엔진의 시동까지 걸어 줍니다.

 -버튼으로 시동거는 자동차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 1차로 차의 시동을 켜주고, 계기판과 경고등이 켜진 후 브레이크를 밟고

  다시 버튼을 눌러 2차 시동을 걸어 엔진까지 켜줍니다.

  

 위의 시동 거는 방법은 시동 시 전기가 차의 곳곳에 공급되므로 모든 전자시스템이 서로 연결되게 여유를 주는 것입니다.

 

2. 자동차 예열 후 출발

 - 추운날엔 시동을 건 후 1~2분 워밍업 한 뒤에 출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RPM이 1,000 이하로 떨어진 후 출발해야

  엔진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3. 차량 내부 습기 관리 하기

 차량용 제습제를 사용 하거나 히터를 틀어서 차량 내부의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장기 주차시 공기순모들르 외기에 두어야 좋고, 엔진룸도 자주 청소를 해주면 좋습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차량 내부의 전자제품들이 많이 있어 과한 습기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4. 페달 블랙박스 설치하고 블랙박스 오디오 켜놓기

  급발진 의심 사고 발생 시 입증을 위해 페달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블랙박스 오디오 또한 급발진 입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게 켜놓는게 좋습니다.

페달 블랙박스

 

 지금까지 차량 급발진 시 대처법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이 방법이 무조건적으로 옳은 방법인지는 모르지만 평소에 잘 숙지 해 두셨다가 정말 나에게 이런 상황이 온다면

당황하지 말고 한가지씩 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